정부에서 정책을 발표할 때, ‘중위소득’ 이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합니다. 단어 그 자체로 뜻을 파악한다면 가운데 소득이라는 거 같은데요. 정확한 중위소득의 뜻이 무엇인지, 100% 80% 60%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중위소득 뜻
- 중위소득 60%는 정부가 복지 정책이나 지원 사업의 대상자를 선택할 때 활용하는 소득 기준이다.
-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세웠을 때, 정확하게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 소득을 말한다.
- 중위소득은 고정된 값이 아니라 매년 바뀐다.
중위소득 100% 80% 60% 기준
가구원수 | 100% | 80% | 60% |
1인가구 | 2,392,013원 | 1,913,610원 | 1,435,208원 |
2인가구 | 3,932,658원 | 3,146,126원 | 2,359,595원 |
3인가구 | 5,025,353원 | 4,020,282원 | 3,015,212원 |
4인가구 | 6,097,773원 | 4,878,218원 | 3,658,664원 |
5인가구 | 7,108,192원 | 5,686,554원 | 4,264,915원 |
6인가구 | 8,064,805원 | 6,451,844원 | 4,838,883원 |